목록코딩 이야기 (25)
미소를뿌리는감자의 코딩
https://ssabi.tistory.com/48 [Git] 깃허브(Github) 프라이빗 저장소(Private Repository) 로컬 저장소에 클론(Clone)하는 방법 깃에서 만든 프라이빗 저장소를 클론하려고 하면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. 프라이빗 저장소는 권한이 있는 사람만 접근이 가능하므로 SSH 키(Key)를 발급받은 후 원격저장소인 깃허브에 ssabi.tistory.com -> clone 하기 git clone 할 때, ssh 를 copy 해서 입력하는 것을 잊지 말기. http는 이제 지원을 안한다. clone할 때, 원하는 위치로 cd 해서, clone 을 해주는 것이 좋다. 이후, 나의 파일을 github에 올리기 위해서는 프로젝트 폴더를 clone시킨 폴더 아래로 이동시켜야..

python의 sort는 어떤 알고리즘을 사용할까? 주로 사용되는 정렬함수 [ sorted() ] 와 리스트 타입의 메소드 [ sort() ] 는 모두 내부적으로 'Timsort' 알고리즘을 사용한다. Timsort는 팀 피터스가 파이썬을 위해 개발한 정렬 알고리즘이다. 삽입 정렬과 병합 정렬의 특징을 결합한 알고리즘이다. -> 이제 삽입 정렬과 병합 정렬에 대해서 알아보자 1) 삽입 정렬 [ Insertion Sort ] - 배열을 정렬된 부분과 정렬되지 않은 부분으로 나눈다. - 정렬되지 않은 부분의 첫 번째 원소를 적절한 위치에 삽입하여 정렬된 부분을 확장해 나가는 방식으로 작동한다. 최선의 경우 : O(n) 평균, 최악의 경우: O(n^2) 특징: - 안정적인 정렬 방법이다. - 작은 데이터 세트..
1. ORM ORM stands for... Object-Relational Mapping 이다.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호환되지 않는 유형의 시스템 간에 데이터를 변환하는 프로그래밍 기술이다. 즉, 간단히 말하면 객지프 언어를 사용, 호환되지 않는 것을 가져와서 이용하기 위함. 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. 구체적으로 이야기 해보면, ORM은 DB의 table을 object로 mapping하여 DB의 record에 대한 작업을 객체 지향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. -> 이를 통해서 ... SQL 쿼리를 직접 작성하는 대신, 객체의 속성과 메서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다. 장점 vs. 단점 1) 장점 - 생산성과 유지보수성 향상: ORM을 사용하면 반복적인 CRUD(Crea..
1. Counter 오늘은 Python의 collections 모듈에 포함된 Counter 클래스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. -> hash table의 일종 Counter 클래스: 키 -> 요소 값 -> 요소의 개수 데이터의 빈도수를 쉽게 계산할 수 있다. from collections import Counter # 문자열에서 문자의 빈도수 계산 char_count = Counter('banana') print(char_count) # 출력: Counter({'a': 3, 'b': 1, 'n': 2}) # 리스트에서 요소의 빈도수 계산 word_count = Counter(['apple', 'banana', 'apple', 'orange', 'banana', 'apple']) print(word_count..